<interceptor-ref> 이런걸 안써도 제대로 실행되어 집니다.
인터셉터는 struts2에서 자동적으로 처리가 되어집니가 결국은 갖다 쓰는것 밖에 안되는데..
인터셉터 개념을 먼저 잡으셔서 어떻게 돌아간다는걸 아시게 되면
기본개념은 액션 단위의 작업을 수행할 때 기존 액션 처리 전과 후에 추가적인 작업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이구요 인터셉터를 이용해서 훨씬더 나만의 방식으로
유연하게 프로그램을 작성하실수가 있습니다.
결론은..
<interceptor-ref name="prepare" /> 1
<interceptor-ref name="modelDriven" /> 2
<interceptor-ref name="params" /> 3
이렇게 쓰면 실행되는 순서가 달라지게 됩니다.(아까설명드렸듯이 안써도 자동처리됩니다.)
<interceptor-ref name="prepare" />
는 Preparable 인터네시르를 구현하였다면 액션을 호출하기전에 실행되는 메소드이며 즉 초기화 작업을 많이 합니다.
<interceptor-ref name="modelDriven" />
는 ModelDriven 인터페이스를 구현하였다면 getModel()메소드의 반환 값을 밸류 스택에 넣는 역활입니다.
<interceptor-ref name="params" />
는 요청 파라미터를 액션에 저장하는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