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uter knowledge2009. 9. 27. 10:45

보통 컴퓨터를 업그레이드한다고 하면 가장 우선순위로 꼽히는 것이 그래픽카드인데 나름 어설프게나마 호환성과 성능을 기준으로 그래픽카드보는법을 간략하게 정리해봤다.

그래픽카드를 살때는 우선 자신의 pc케이스(컴퓨터 껍데기...) 규격에 그래픽카드가 맞는지를 가장 먼저 고려해야한다. 보통 그래픽카드 사이즈를 보면 일반형과 LP타입 두가지가 있고 미들케이스에는 일반형을... 슬림케이스에는 LP타입을 선택하면 된다.
일반타입은 말뜻 그대로 보통 크기의 그래픽카드란 뜻이고 LP타입이란 슬림형 케이스의 좁은 공간에 맞게 크기를 억지로(?) 줄인 것을 말하는 것으로 당연히 일반형이 LP타입보다 같은 값이면 성능이 우월하다.
만약 실수로 자신의 컴퓨터가 일반 미들타워 케이스인데 LP타입 그래픽카드를 구입했다면 가격대 성능비에서 손해를 본 셈이된다.

그래픽카드 제조사는 ATI와 NVIDIA 두 곳이 있다.(다른 제조사도 있기는 하지만 크게 의미는 없음)
예전에는 2D와 3D에서 차이가 좀 있었지만 요즘은 기술이 평준화된 관계로 일반적인 컴퓨터 유저라면 어느 쪽 제조사를 선택해도 별 상관없을 듯 싶다.

다음으로 그래픽카드보는법에서 본격적인 관심사인 사양을 봐야하는데 그래픽카드 성능을 볼때는 칩셋 모델명, 메모리용량, 코어클럭, 메모리클럭 등등을 세부적으로 봐야하지만... 사실 컴퓨터 매니아나 그래픽 전문가가 아닌 일반 pc유저가 이런 세부스펙을 일일이 다 따져볼 필요는 없다.
종류만해도 너무 많아서 정신이 오락가락 하는판에 세부사항까지 챙길 마음의 여유가 없다는...
그래서 그래픽카드 성능보는법은 핵심 부품이라고 할수 있는 칩셋 모델명 넘버를 보고 그에따라 성능을 판단하는 것이 제일 속편하고 간단하다.

그런데 그래픽카드 모델명보는법에서 주의할 것이 있는데 바로 숫자의 함정이 이다.
보통 모델명을 볼때는 막연하게 숫자가 높으면 무조건 좋은것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데 엄밀히 따지면 그렇지 않다.
지포스의 모델명을 나타내는 네자리 숫자는 세대를 뜻하는 천단위 숫자와 등급을 뜻하는 백단위 숫자로 나눠져 있고 이부분을 이해하고 봐야지 무턱대고 전체 넘버가 높다고 성능이 높은 것은 아니라는 것에 주의해야한다.
지포스 그래픽카드인 9400과 8600을 기준으로 설명하자면 앞의 숫자인 '9'와 '8'은 세대를 뜻하고 뒤의 숫자인 '400'과 '600'은 성능 등급을 뜻한다.

즉 9400은 9세대의 400정도 성능을 가진 지포스 그래픽카드를 뜻하고 8600은 8세대의 600정도 성능을 가졌다는 뜻이다.
컴퓨터부품의 특성상 세대가(천자리숫자) 뒤로갈 수록 당연히 성능이 좋겠지만... 그래픽카드에서는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이 바로 성능을 나타내는 뒤의 백자리 숫자이다.

다른 예로 지포스9200(9세대 200등급)과 7800(7세대 800등급)을 비교하면 등급은 지포스'7800'이 높지만 세대차이가 두계단이나 아래이기때문에 어느쪽이 훨씬 낫다고 할 수 없다.
하지만 지포스 9400(9세대 400등급)과 8800(8세대 800등급)을 비교한다면 세대차이는 한계단 뿐이고 지포스8800이 등급에서 훨씬 앞서기 때문에 성능이 더 좋은 그래픽카드 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옵션으로 숫자뒤에 표기된 문자는 ultra,  gtx, gts, gt, gs 순으로 성능이 높은 것을 뜻하는데 크게 신경쓸 필요는 없다.... 

참고로 최근에 출시된 최신형 NVIDIA 칩셋은 네자리 숫자가 아니라 세자리 숫자여서... 이경우 맨앞의 백자리 숫자가 세대를 뜻하고 뒤의 십자리 숫자가 등급을 뜻한다.(세자리 지포스 모델들은 아직까지는 꽤 고가 그래픽카드들이기 때문에 컴퓨터 업그레이드에 관심이 많은 사람 아니면 구입할 일이 없을 듯...)


그래픽카드 성능표


 

ATI의 라데온 그래픽카드 시리즈 역시 지포스시리즈 처럼 모델명 보는법이 비슷하긴 하지만 약간 차이가 있다.
천단위 숫자가 세대를 뜻하고 백단위 숫자가 성능 등급을 뜻하는 건 같은데 여기에 추가해서 십단위 숫자가 지포스처럼 모두 '0'으로 표시되는 것이 아니고 또 다시 3, 5, 7 이렇게 숫자가 추가되어서 성능등급을  표시하는 경우가 있다.
즉... 라데온은 백단위 숫자가 젤 중요하고 그다음이 십단위이고 천단위 넘버를 가장 나중으로 보면된다.

끝으로 그래픽카드보는법과는 별로 상관없는 내용이지만 경우에따라서는 그래픽카드에 달려있는 쿨러도 중요하다.
그래픽 카드에 달려있는 쿨러 종류에는 크게 4가지로 나눠볼 수 잇는데 그냥 기본으로 달려있는 것, 쿨링성능을 강화한 것, 저소음 성능을 향상시킨 것, 그리고 무소음 구축을 위해서 아예 프로펠러 쿨러가 없고 방열판만 있는 그래픽카드가 있다.
쿨러는 그래픽카드의 성능과는 상관이 없고 본인의 취향에 따라 고르면 되는데 기본 번들용 쿨러보다 나름 기능성이 있는 쿨러가 가격면에서는 좀더 프리미엄이 붙는다.

Posted by 신의물방울
Computer knowledge2009. 9. 27. 10:41


어제 포스팅한 그래픽카드 눈으로 직접확인하는법에 이어 숫자로표시된 각종 스펙및 상세정보에대해 설명해보려한다
윗그림의 맨아래부분을 보자
라데온 X1950PRO 라는 그래픽카드인것은 알겠는데 옆에 숫자로 나열된것들은 어떻게읽고 어떻게 봐야할까?
실제로 초보분들이나 조금아시는분들도 단순히 칩셋과 램만 보는경우가 대부분이다
왜가격차이가 나는지, 같은놈인듯보이는데 왜 가격이 다른건지, 스펙을 보면 답이 나온다

1. GDDR3 512M
그래픽카드도 흔히말하는 램,메모리가 있다
물론 숫자가 높을수록 성능이 좋은것이다
주의해야할것은 DDR2인지 DDR3인지 확인해야한다는것이다
동작클럭(MHZ)에의한 속도차이뿐아니라 가격차이또한 발생한다

2. 256bit
메모리버스를 의미함으로 데이터를 한번에 얼마나 처리할수있는지를 수치로 나태낸것이다
현재 가격이 엄청난 그래픽카드의 경우 896bit까지 나오긴했지만 사용할수있는 사람은 많지 않다
64bit와 128bit는 메모리가 동일할경우 성능차이가 많고 가격차이또한 여기서 좌우되는경우가많다
지포스GS계열이나 슬림형카드가 대부분 64bit이다
반드시 살펴봐야할부분이지만 많이들 놓치는 부분이다

3. 코어 580MHz
코어의 클럭을 나타낸것으로 코어란 GPU를 말하는것으로 두뇌(컴퓨터의 CPU)라고보면될것이다
아이큐와 동일선상에 놓고 생각해보면 당연히 숫자가 높아야 성능이 좋은것이라는것을 알것이다
코어클럭은 라데온계열이 800MHz넘는등 우위를 보이고있다
잠깐 그림으로 살펴보자
GPU위에는 쿨러가있어야한다(제거한상태의 사진)


4. 메모리 1400MHz
말그대로 메모리의 동작클럭이다
당연히 숫자가 높으면 처리속도가 빠르다는말이다
이쯤에서 실제 판매되는 카드의 기본설명을 보도록하자


메모리의 종류를 먼저보고 클럭을 보는것이 옳다
메모리가 512M라 할지라도 GDDR2라면 클럭의 한계때문에 가격이 저렴하고 성능또한 값싸다
현재 GDDR5 를 탑재한제품도 나오는데 역시 가격때문에 접하기쉽지않다

5. AGP8X/4X
인터페이스를 말하는것으로 쉽게말해서 장착방식이다
AGP는 최대배속이 8배속이라는 말인데 메인보드가 지원하지않는다면 4배속으로 작동된다
그러나 이제 AGP는 새제품에는 사용하지않는다
PCI-EXPRESS 16X 이 그자리를 차지했는데 숫자만따져보아도 두배나 배속이 증가했다

이상, 이미지에 표기된 다섯가지사항을 살펴보았다
이외에도 그래픽카드의 성능을 나타내는 여러가지의미가 더있지만 이정도만 알아두면
그래픽카드를 선택할때 최소한의 성능이나 스펙에대한 오해는 없을것이다
같은지포스,같은 라데온에 모델이 똑같은데 값이 싸다는 이유로 무조건 구매를 선택했다 성능에 실망하는 경우가 없길바라며 글을 마친다.
Posted by 신의물방울
Computer knowledge2009. 9. 23. 21:28

Vista 사용중 많은사람이 ActiveX사용에 불편을 느낍니다

 

이것은 자신이 사용중인 계정이 관리자 계정이 아니며, UAC가 활성화 되어있기때문에 ActiveX가 차단되기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입니다

 

덕분에 클럽박스나 웹에서 까는 여러가지 ActiveX에 제약이 생기는데, 이것을 해결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관리자 계정 활성화 방법

 

제어판- 관리도구로 들어간다

 

 
 
거기서 다시 로컬보안정책-보안설정-로컬정책-보안옵션으로 들어가면 다음과 같은 창이 뜬다
 
계정:Administrator계정상태라는 옵션이 있는데 그것을 사용으로 바꾼다
 

 
 
 
로그오프나 사용자 전환을 하면 다른 계정으로 로그인할수가 있는데, Administrator로 로그인을 한다
 
계정이 두개 이상이면 부팅시 어떤 계정을 사용할지 물어보기때문에 전에 사용하던 계정을 삭제를 하는것이 편하다
 
제어판-사용자계정-다른계정관리에 들어간다
 

그다음 전에 사용하던 일반 계정을 클릭하고 계정삭제를 한다

 

주의 : 혹시 전에 사용하던 설정을 그대로 사용하고 싶다면 C:\사용자 폴더로 들어가서 전에 쓰던 계정이름의 폴더의 파일을 Administrator폴더로 복사하면된다

 


 
 
2. UAC 해제 방법
 
시작-Run,검색에서 msconfig로 들어간다
 

 
 
시스템구성-도구탭에서 UAC사용안함 옵션을 시작한다
 

Posted by 신의물방울